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4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경기도내 시군 지난해까지 구성
매달 한번씩 회의 계획 불구
강제성 없어 '소극적' 운영

아동학대 피해 발생 증가
도 “실무적 협의 이뤄져야”

 

06. 13 역할못하는 '아동학대 현장대응 공동협의체'.jpg

▲ 아동학대(CG). /이미지투데이
 

2020년 전국 최초로 화성시에서 경찰과 시청 공무원, 전문기관 관계자가 아동학대 예방을 위해 논의하는 협의체가 탄생했다.

아동학대 사건은 그동안 각 기관이 개별적으로 대응, 피해 아동과 부모를 제때 격리하지 못하는 등 문제가 있었다.

이 협의체의 효과는 컸다.

지적장애 아동이 아버지로부터 상습 폭행을 당하고 있다는 112신고가 접수되자, 경찰관과 공무원 등이 피해 아동이 사는 집을 방문했다. 이들은 현장을

확인하고는 수사에 나서는 한편 아동을 장애인 보호시설에 들어갈 수 있도록 도왔다. 또 남편으로 잦은 폭행에 시달리는 모녀가 상담소의 도움을 받아

보호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다.

1년 동안 모두 1280건 이상의 피해자를 도왔다.

이를 계기로 아동학대 대응에 있어 관계기관 협업의 필요성이 점차 중요해졌고, 각 지자체는 '아동학대 현장대응 공동협의체(이하 공동협의체)' 구성에

나섰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 이후, 이 협의체가 제기능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2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해 10월까지 도내 31개 시군에 공동협의체가 만들어졌다. 2020년 10월 시행한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개정안을 공고히 하자는 취지다.


이 법안은 시군마다 아동학대 전담공무원을 의무적으로 두는 게 골자다. 당시 전담공무원이 생겼으나, 대응이 제각각이거나 정작 경험 부족하다는 우려가 나왔기 때문이다.

협의체는 매달 한 번씩 모여 구체적인 역할 분담 방안 논의와 사건 발생 시 피해 아동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단을 찾기로 했다.

그러나 이 협의체는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소극적으로 운영됐다. 모임에 강제성이 없고, 협력체계 방안이 조례 등으로 구체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해 회의를 열지 않는 시·군이 많아 전체적으로 모임을 가진 사례가 80건 수준에 그쳤다.

이러는 사이 도내 아동학대 피해는 확대되는 상황이다. 아동학대 발생 건수는 2019년 7885건에서 2021년 9345건으로 급증했으며, 재학대 사례 비율도 2019년 12.4%였다가 2020년 14.9%, 2021년 14.8%으로 늘었다.

도는 올해 코로나19 거리두기가 해제됨에 따라 협의체와 경기도아동학대전담기구를 연계해 지역 특성을 반영한 정책을 도출하는 등 적극적인 운영 방법에 고심하고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그동안 각 지자체나 기관이 협의체 운영에 소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아동학대 예방의 실질적·효율적 협업 효과에 한계가 발생했다”며

“앞으로 시군별 특성에 맞는 지원체계 등 실무적인 협의가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경훈 기자 littli18@incheonilbo.com

 


[출처]

인천일보(http://www.incheonilbo.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5 울고 식사 거부한다고 장애인 폭행... 60대 생활지도원, 징역형 집유 file 장애인권익 2022.07.04 45
124 지적장애인 노린 20대...교제 명목으로 수백만원 가로채 실형 file 장애인권익 2022.07.01 75
123 "우리 반에도 장애인 있죠?" 장애인의 날, 교사 부적절 발언 file 장애인권익 2022.06.30 64
122 치료감호소 나온 발달장애인, 열쇠 꽂힌 집에 홀로 갇혀 있었다 file 장애인권익 2022.06.29 179
121 손 모양 만지며 촉감으로 '소통' "집에 갇힌 시청각장애인들 사회로 이끌고 싶어" file 장애인권익 2022.06.28 67
120 자립 어려운 정신장애인..."64%는 퇴원준비 상담 못 받아" 장애인권익 2022.06.27 52
119 노인·장애인 급식지원센터 7월 본격 시작...5년내 전국 확대 file 장애인권익 2022.06.24 47
118 발달장애인의 '홀로서기'...부모에게 한줄기 빛이 될까 file 장애인권익 2022.06.23 110
117 뺨 때리고, 목 조르고...지적장애인 학대한 복지시설 직원들 file 장애인권익 2022.06.22 101
116 "절망의 도가니에 빠진 것 같다"...발달장애인 가족의 외로운 분투 [심층+] file 장애인권익 2022.06.21 265
115 청각장애인 직원에게 "어머님 뭐 잘못 드셨나?" 막말한 상사 file 장애인권익 2022.06.20 86
114 24시간 활동지원서비스 중단으로 세상떠난 중증장애인... 장애인권익 2022.06.17 89
113 연금공단이 발굴한 미등록 장애인만 153명...활동지원 확대도 나선다 file 장애인권익 2022.06.16 51
112 장애인인권연대 "통학버스서 숨진 장애청소년 수사하라" file 장애인권익 2022.06.15 126
111 최저임금 미적용 장애인 6천500여명...월 평균임금 36만원 file 장애인권익 2022.06.14 86
» 역할못하는 '아동학대 현장대응 공동협의체' file 장애인권익 2022.06.13 46
109 [현장에선] 장애인 문제는 우리 모두의 일 장애인권익 2022.06.10 46
108 발달장애인, 시설 안에서? 밖으로? 부모회-전장연 엇갈린 목소리 file 장애인권익 2022.06.09 91
107 지하철 타다 죽어도, 9호선은 '무혐의'...장애인 추락사 두달 file 장애인권익 2022.06.08 62
106 휠체어 못 가는 화장실, 후문 계단... 장애인 투표 가시밭길 file 장애인권익 2022.06.03 102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 13 Next
/ 13